1. 대상포진의 정의
대상포진은 피부에 띠 모양의 발진과 수포가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소아기 때 수두를 일으킨 후에 신경 주위의 무증상으로 남아 있다가 면역력이 떨어졌을 때 재활성화되어 신경절을 따라서 피부의 발진과 수포를 나타내고 심한 통증을 유발합니다. 수두 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신경절을 따라 퍼지기 때문에 팥알 크기의 수포가 척추를 중심으로 한쪽 방향에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심하면 전신으로 염증이 퍼질 수도 있습니다. 우리 몸의 어느 곳에든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은 생명에 지장은 없지만 매우 고통스러운 질환입니다. 주위에 많은 사람들이 대상포진에 걸립니다. 우리나라에서 평생 유병률을 기준으로 했을 때 3명당 1명 정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전체 대상포진 환자들의 3분의 2 정도가 면역력이 많이 떨어지는 60세 이상으로 고령 환자에서 발생합니다. 그리고 면역결핍 바이러스(HIV)에 감염된 환자나 장기이식, 항암치료로 면역기능이 떨어진 환자에서 많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최근 과로나 극심한 스트레스로 면역력이 약화된 20대에서나 30대의 환자들도 점점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남성보다는 여성이 1.6배 정도 더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대상포진은 전염성이 있어 주변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대상포진의 증상과 진단
대상포진의 특징적인 병변은 피부 병변이 나타나기 4~5일 전부터 피부에 국한되어 있는 감각의 이상이나 통증이 발생합니다. 또한 감기, 몸살처럼 발열이나 두통, 근육통이 같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특징적인 피부 병변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다른 질환으로 오진될 수도 있습니다. 피부 병변은 통증이 나타나고 나서 1에서 3일 정도 후에 띠 모양의 붉은 발진이 발생하고 이후 수포가 나타납니다. 신경절을 따라 나타나기 때문에 척추를 기준으로 한쪽 편으로 나타나며 중앙을 침범하지 않습니다. 수포는 농포, 가피의 형태로 변화되면서 서서히 사라집니다. 대상포진은 심한 통증이 특징입니다. 통증의 정도를 비교를 했을 때 아이를 낳는 분만의 통증보다 더 심하다고 합니다. 통증의 양상은 '바늘이나 송곳으로 찌르는 것 같다, 뻐근하다, 스치기만 해도 아프다, 칼로 찌르는 것 같다' 같은 굉장히 고통스러운 신경통증의 양상을 보입니다. 대상포진은 신경절을 따라 무리 지어 나타나는 피부 병변을 확인하면 진단 가능합니다. 다만 대상포진 초기 환자나 발진이 없거나, 면역억제 환자에 있어서의 피부 병변은 특징적이지 않아서 조기 진단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특징적이지 않은 피부 병변이 발견되는 경우에는 피부 병변을 긁어내어 현미경적 검사, 바이러스 배양검사, 분자 유전자 검사를 통해 확진할 수 있습니다.
3. 대상포진의 위험요소와 치료
대상포진은 면역이 감소된 상황에서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포 면역 체계가 약화된 에이즈나 항암치료, 방사선 치료, 그리고 이식 거부 반응을 없애기 위한 면역 억제제 치료, 장기간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령이나 수술, 스트레스, 과도한 피로, 수면 부족 일교차가 큰 경우 이런 일상적인 면역성이 약해지는 이 상황에서도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 치료에 가장 중요한 것은 항바이러스제 투여입니다. 발진 발생 후 72시간 이내, 즉 3일 이내에 초기 항바이러스제 투여가 아주 중요한 치료입니다. 진단이 늦어졌다 하더라도 진단 즉시 항바이러스제를 투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항바이러스 제제는 초기 감염 확산을 막고 감염 기간과 중증도를 감소시키며 대상포진 후 신경통을 신경통으로 진행하는 것을 막아주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통증 감소 목적으로 진통 소염제를 사용하는데 부족하다면 항경련제나 항우울제를 같이 사용할 수 있고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신경 차단술을 할 수 있는데 통증 감소와 대성 포진 후 신경통으로 가는 것을 감소시켜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대상포진은 예방백신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면역력이 떨어져 있는 60세 이상은 백신을 적극 권유하고 있습니다. 혹시 예전에 대상포진이 발병한 적이 있다면 면역이 생겨 접종을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만, 최근 '싱그릭스'라는 새로운 백신이 나왔으므로 접종을 고민하기를 권장합니다.